다크초콜릿을 매일 조금씩 먹으면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가 줄어 기분이 좋아 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네슬레 연구센터의 서닐 코허 박사 팀은 일반인 30여 명에게 다크초콜릿 40g을 2주 동안 매일 먹게 했다.
연구진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과 카테콜아민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연구 시작 전, 중간, 끝에 연구 대상자의 혈액, 소변 샘플을 채취했다.
코허 박사는 “측정 결과 매일 다크초콜릿을 조금씩 섭취하면 스트레스와 연관된 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며 “2주간의 짧은 소규모 연구임에도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장기간 유지하면 확실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다크초콜릿 안에는 폴리페놀이라는 항산화성분이 들어있어서 심장병과 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초콜릿 안에는 당분과 지방이 많이 들어있으므로 조금씩만 먹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결과는 ‘단백질 연구저널(Journal of Proteome Research)’ 10월 7일자에 실렸으며 미국 논문 소개 사이트 유레칼러트, 온라인 과학 웹진 라이브사이언스닷컴 등이 11일 보도했다.
---------------------------------------------------------------------------------
심장발작을 경험한 사람은 일주일에 적어도 다크초콜릿을 2번 먹으면 심장병으로 사망할 위험이 70% 가까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스톡홀름 카롤린스카 연구소 연구진은 1992~1994년 사이에 심장발작으로 병원치료를 받은 45~70세 환자 1169명에게 초콜릿을 먹는 횟수 등 평소 식사 습관을 물은 뒤 이후 10년 간 건강 상태를 추적조사 했다.
그 결과 초콜릿 몇 조각씩을 일주일에 2번 이상 먹은 환자는 아예 먹지 않는 환자보다 심장병으로 사망할 위험이 66% 적었다. 초콜릿을 일주일에 1번 먹으면 사망 위험은 절반으로 줄었고, 한 달에 1~2번 먹어도 위험이 27% 줄어들었다.
초콜릿 외에 다른 단 음식은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고지방 밀크 초콜릿이나 설탕이 많이 들어간 초콜릿보다는 다크초콜릿을 먹는 것이 심장병 재발을 막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다크초콜릿 안에는 플라보노이드라는 항산화 성분이 들어있어서 혈전(피떡)과 장암이 생길 위험을 낮추고 조산아 출산을 예방한다. 항산화 성분은 심장병을 일으키는 활성산소(free radical)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한다. 초콜릿을 가공하면 항산화 성분은 크게 줄어든다.
심장발작 환자의 3분의 1은 이미 사망한 상태에서 병원에 도착한다. 심장발작 후 생존한 환자라도 이후에 심장에 다시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망할 위험이 매우 높다.
이 연구결과는 내과 전문 학술지인 ‘저널 오브 인터널 메디신(Journal of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실렸으며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 미국 일간지 USA 투데이 인터넷판 등이 15일 보도했다.
-----------------------------------------------------------------------------------------------------------

다크초콜릿을 매일 조금씩 먹으면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가 줄어 기분이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네슬레 연구센터의 서닐 코허 박사 팀은 일반인 30여 명에게 다크초콜릿 40g을 2주 동안 매일 먹게 했다.
연구진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과 카테콜아민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연구 시작 전, 중간, 끝에 연구 대상자의 혈액, 소변 샘플을 채취했다.
코허 박사는 “측정 결과 매일 다크초콜릿을 조금씩 섭취하면 스트레스와 연관된 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며 “2주간의 짧은 소규모 연구임에도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장기간 유지하면 확실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다크초콜릿 안에는 폴리페놀이라는 항산화성분이 들어있어서 심장병과 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초콜릿 안에는 당분과 지방이 많이 들어있으므로 조금씩만 먹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결과는 ‘단백질 연구저널(Journal of Proteome Research)’ 10월 7일자에 실렸으며 미국 논문 소개 사이트 유레칼러트, 온라인 과학 웹진 라이브사이언스닷컴 등이 11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