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과연 모계사회로 돌아가는가 ? 한국사회 과연 모계사회로 돌아가는가 ? 우리 겨레의 선조들이 동북아대륙을 활동무대로 살았던 고대사회는 모계사회였다. 여자가 시가로 시집을 오지 않고 남자가 처가살이 들어가는 시대였다. 당시의 기록들을 보면, 남자는 본가를 떠난 후로 죽어서도 본가로 돌아올 수 없었고, 씨족..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동북공정 꾸짖은 주은래 수상 동북공정 꾸짖은 주은래 수상 20세기 후반 세계의 판도를 좌지우지했던 아메리카합중국과 소비에트 유니온이 가장 경계하고 견제했던 나라는 이른바 ‘죽의 장막’ 뒤에 가려져 있던 중화인민공화국이었다. 공산주의 혁명과정에 있었던 당시 중공의 내정과 혁명과업은 중국공산당 주석..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로자 룩셈부르크와 김 알렉산드라 페트로보나 로자 룩셈부르크와 김 알렉산드라 페트로보나 독일에 로자 룩셈부르크(1871.3.5~1919.1.15)가 있다면, 한국에는 김 알렉산드라 페트로브나(1885.2.22~1918.9.16)가 있다. 독일정치이론가이며 사회주의자로자 룩셈부르크(왼쪽 사진)가 폴란드 출생의, 철학자 또는 혁명가라면, 김 알렉산드라 페트로..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우리민족의 독립운동 - 자유시 참변(自由市慘變) 자유시 참변(自由市慘變)은 1921년 6월 27일 러시아 스보보드니(이만, 알렉세예프스크, 자유시)에서 붉은 군대(Красная Армия)가 대한독립군단 소속 독립군들을 포위, 사살한 사건이다. 다른 말로 자유시 사변(自由市事變), 흑하사변(黑河事變)으로도 불린다. 사건이 일어날 당.. 精神을 건강하게/기억해야할역사 2012.08.01
tfryguhijokl ------------------------------------------------------------------- 와인의 종류를 나누는 가장 기본적인 기준은 색상이다. 와인은 색상에 따라 화이트, 레드, 로제 와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때 와인의 색에 영향을 주는 것은 포도껍질이 함유하고 있는 색소인 ‘안토시아닌’이다. 즉 포도즙을 포도.. 카테고리 없음 2012.07.29
와인잔에 담긴 과학 같은 와인이라도 잔의 종류에 따라 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 <출처: 독일와인협회> 와인을 마실 때 향을 음미하는 것은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와인 잔에 와인의 향이 담겨 있느냐 아니냐에 따라 와인의 맛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잔 입구가 큰 와인 잔으로 와인을 마시면 자.. 카테고리 없음 2012.07.29
와인상식 10계명 와인상식 10계명 와인을 마시는 인구는 늘어가고 있지만 “와인은 종류가 너무 많고 마시기 까다로워서 부담스럽다”는 사람들도 여전히 많다. 와인에 관심이 있거나 와인 초보자들이 알아둘 만한 ‘와인 상식’ 몇 가지를 소개한다. ① 오래된 와인이라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와인에.. 酒 와 茶/신의물방울 2012.07.29
와인병 아랫부분이 원뿔모양인 이유는 ? 와인병 바닥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이유는 디켄팅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인데요 오래된 레드와인은 침전물이 가라앉아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보르도 와인이나 빈티지 포트에 자주 생기므로, 이러한 와인을 접대할 때는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는 디켄터를 미리 준비해야 하죠 와인병의.. 酒 와 茶/신의물방울 2012.07.29
운동할 때 물을 마셔야 하나, 말아야 하나? 1. 운동할 때, 갈증이 나면 물을 마셔야 한다. 아니다. 갈증을 느끼기 전에 물을 마시기 시작해야 한다. 몸이 갈증을 느끼기 시작할 때는 이미 체내에서 2리터의 수분이 빠져나간 뒤이다. 몸무게가 80Kg인 사람의 경우 물 2리터는 체중의 2.5%에 해당하는 양이다. 운동능력은 몸에서 체중의 1%.. 肉身을 건강하게/건강한 행동 2012.07.29
등산의 기본은 걷기 등산의 기본은 걷기 등산의 기본은 걷기이다. 두 발을 이용하여 균형을 잡으며 걷는다는 것은 네 발 달린 짐승이 볼 때 매우 어려운 동작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 인간은 손의 자유를 얻기 위해 다리의 균형감각과 힘이 고도로 진화되어 누구나 걷고 뛰는 동작을 능숙하게 하는 것이다. 그.. 삶의 발전소/공부하는산 2012.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