精神을 건강하게/핵발전. 대안에너지

식품업계는 국민건강 담도로 도박 중....'방사능 성분 표시제' 대안 부상 환경뉴스

하늘벗삼아 2013. 8. 12. 15:27

안전한 먹을거리를 원하는 소비자의 갈망이 수산물과 수산물 가공식품 기피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싱가폴, 대만처럼 일본산 수산물을 전면 수입제한 해야 한다는 주장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한발 나아가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로 가공 식품을 제조할 경우 기준치 통과 여부에 상관없이 이를 별도로 표기하자는 의견도 등장했다. 소비자의 알권리와 선택권을 강화하자는 주장이다.

 

현재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방사능 문제가 일본 해역에 국한된 것이냐는 것이다. 이미 일본 정부의 묵인 하에 2년 전부터 하루 400톤에 이르는 고준위 방사능 오염수가 태평양에 버려졌고, 태평양 해류가 일본에서 러시아 쪽으로 올라갔다가 알레스카를 거쳐 캐나다와 미국 쪽으로 내려온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현 시점에서 러시아산 수산물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한다는 게 소비자의 반응이다.

 

 

해류가 지구한 바퀴를 도는데 걸리는 기간은 얇은 바다의 경우 5년에서 20년이 걸린다는 사실을 따져볼 때, 이미 국내 유통 중인 러시아산 수산물에서도 방사능 물질이 검출되는 일은 당연하다는 것.

 

 

이와 관련 일부 식품업체가 "(어묵, 맛살, 생선튀김, 젓갈 원료로) 일본산이 아닌 러시아산과 미국산 수산물을 수입"하고 있으며, "러시아산을 사용한다고 해도 정부가 정한 기준치 이하이기에 문제없다"고 주장하는 부분이 우려스러운 이유는 여기에 있다. 서울대 서균렬 교수가 밝힌 "방사능 기준치 조정도 필요하겠지만 통관 시 전수조사를 할 수 없는 시스템"에서 기준치를 논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점이다.

 

 

이같은 업계의 반응을 두고 '안전 불감증'이라 요약하기에는 '겁없는 도박'이라 여겨진다는 의견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유통업계 전문가는 "불신이 깊어진다면 기업 백년경영의 위기를 초래하는 만큼 당장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먼 장래를 내다보고 대체 원산지와 원료 수급에 힘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미 사조대림은 어묵 원료로 사용하던 러시아산 명태를 대신해 베트남과 국내산 조기로 대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성기업의 경우 방사능 측정 장비 구매를 서두르고 있으며 이를 조업 현장에서 활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각 기업도 방사능 사태에 대처할 방도를 물색 중이다. 하지만 국민들 사이에 방사능이 각종 유전병과 암발생률을 높인다는 인식이 확산된 만큼 획기적인 결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그중 하나가 정부와 식품업계가 나서 첨가물이나 원료에 대한 정확한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하고, 소비자 선택권을 강화하는 쪽으로 방사능 정보를 제품에 공개하자는 쪽이다. 현재 논의 가능한 방안은, GMO(유전자 조작) 원료를 사용한 제품에 대해 GMO표시를 의무화한 규정처럼 방사능이 검출된 통관 재료로 식품을 제조 유통할 경우 기준치 가부에 상관없이 이를 표기하자는 안이다.

 

 

방사능 오염수 문제가 하루아침에 해결될 문제가 아닌 만큼 식품업계 역시 장기적 매출 피해를 고려할 때 안전한 식품 풍토를 조성하자는 본 취지에 일부 공감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통관지연, 구매비용 증가, 제도적 합의 등의 마찰요인이 있는 만큼 협의는 하되 신중하자는 쪽이다.

 

 

현재 SNS상에서는 괴담 수준을 넘어 식탁을 위협하는 현 시점에서 정부의 역할이 미비한다고 보고, 식품기업이 국민건강을 고려해 위협요소로 부터 안전한 식품을 지켜냈으면 하는 바람들을 전하고 있다. 

자신을 기업연구소 연구원이라고 소개한 한 네티즌(@고래뱃속)은 “지난 식품 파동의 원흉이 되었던 AI조류독감이나 구제역은 백신과 치료약이라도 있지만 방사능은 노출되면 약도 없다”라며, “이제까지 있었던 먹거리 논란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로정부와 기업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