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曰 - ‘上善若水(상선약수) 가장 위대한 善’이라는 말 - 老子 曰 - 上善若水 老子(노자)에는 ‘上善若水(상선약수)’라는 말이 있다. ‘上’은 ‘위’라는 뜻이고, ‘善’은 ‘선, 착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上善’은 ‘가장 위에 있는 善’, 즉 ‘가장 偉大한 善’이라는 말이 된다. ‘若’은 ‘∼와 같다’라는 뜻이고, ‘水’는 ‘물..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인생에는 3대 악재가있다 한다. 마음에 와 닿는 글 한편 인생의 3가지 불행 독일인들은 장수의 3대 비결로 『좋은 아내, 훌륭한 주치의, 젊은이와의 대화 』를 꼽는다고 합니다. 좋은 아내는 원만한 성생활과 섭생을 보장하고, 훌륭한 주치의는 건강을 담보하며, 젊은이와의 대화는 삶에 대한 생기를 불어넣는다는 것이..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중국 역사 인물(9인)의 지혜 ☆ 중국 역사 인물(9인)의 지혜 ☆ 강태공 조어대 -중국 산시성 바오지시(寶鷄市). 강태공이 낚시하던 자리- 운도 지지리 없는 놈이라고 하늘의 무심함을 탓하지 말라! - 주나라 태공망 강태공(姜太公) - 내가 수십년간 낚시를 벗하며 때를 기다리는 동안 조강지처마저 나를 버리고 도망가 ..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주은래, 모택동에 기생한 권력가였는가? 간혹 주은래를 비판하고자 하는 이들 중 상당수가 주은래의 문화혁명 기간 동안의 행적을 두고 말한다. 그것은 모 주석의 뒤를 이어 당시 명실상부한 제2인자로 떠오르던 유소기가 문혁 기간 동안 총리직에서 쫒겨나고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그 기간동안 많은 혁명동지들..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성공한 2인자 - 주은래 비록 두 사람은 모두 저 세상으로 갔지만, 오늘의 중국공산당과 중국인민해방군은 여전히 주은래 계보의 정치세력이 틀어쥐고 있습니다.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무릇 모택동쪽에 섰던 사람들은, 강청을 비롯하여 모조리 타도되고 말았습니다... 우리 중국의 역사에는 ‘성공도 실패도 모..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중국 총리 - 주은래 6無의 삶(동북공정 부정) 주은래 총리 첫째, 저우 총리는 사망 후 유골을 남기지 않았다. 유언에 ‘재 한줌 남기지 말라’고 해서 화장 후 유족들이 유골을 비행기에 싣고 보하이(渤海)만 상공에 뿌렸다고 한다. 사불유회(死不留灰)다. 둘째, 살아서 후손을 두지 않았다. 생이무후(生而無後)다. 중국 사람에게 있어..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정직을 포기한 성공은 없다 정직을 포기한 성공은 없다 영국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하루 동안 행복하려면 이발을 하고, 일주일 동안 행복하려면 결혼을 하고, 한 달 동안 행복하려면 말을 사고, 한 해를 행복하게 지내려면 새 집을 짓고, 평생을 행복하게 지내려면 정직해야 한다." 정직이란 다른 사람뿐 아니라 자..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역지 사지(易地思之) 역지 사지(易地思之) 우리 살아가는 세상에는 다른 사람을 함부로 비판하고 비난하는 사람이 있는 것 같습니다. 잘 모르면 그냥 좋은 점만 봐 주면 되는데.. 이상하게도 꼭, 상대방의 단점과 안 좋은 점만 먼저 보는 사람들의 심리는 무엇일까요 ? 그런 사람의 심리 가운데는 치유되지 못..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한국사회 과연 모계사회로 돌아가는가 ? 한국사회 과연 모계사회로 돌아가는가 ? 우리 겨레의 선조들이 동북아대륙을 활동무대로 살았던 고대사회는 모계사회였다. 여자가 시가로 시집을 오지 않고 남자가 처가살이 들어가는 시대였다. 당시의 기록들을 보면, 남자는 본가를 떠난 후로 죽어서도 본가로 돌아올 수 없었고, 씨족..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
동북공정 꾸짖은 주은래 수상 동북공정 꾸짖은 주은래 수상 20세기 후반 세계의 판도를 좌지우지했던 아메리카합중국과 소비에트 유니온이 가장 경계하고 견제했던 나라는 이른바 ‘죽의 장막’ 뒤에 가려져 있던 중화인민공화국이었다. 공산주의 혁명과정에 있었던 당시 중공의 내정과 혁명과업은 중국공산당 주석..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