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중국의 왕조 분석 [역대중국의 왕조 분석] 1)商나라:[고대중국왕조:BC1,600~BC1,046] 점술발달했으며,수도의 이름을 따서殷나라라고 칭했다. 商(상)나라 전기는 기원전BC 1600년부터 1300년까지이고, 도읍을 殷(은)으로 바꾼 상나라 후기는 1300년부터 1046년까지이다. 2)周( 주 )나라: [중국의 고대 왕조:BC 1046∼BC 771 ] ..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16
중국 연대표 Ⅰ.중국 연대표 나 라 연 대 사 건 기원전 10만 년 호모 사피엔스 출현 은 1600 상(은) - 갑골문자 서주 1122 주(周) - 무왕의 은나라 토벌 동주 춘추시대 722 552 춘추 시대 전개 공자 탄생(479년 사망) 전국시대 403 약 372 전국 시대 전개 맹자 탄생(약289년 사망) 수 581 589 수(隋) 건국 수 왕조(581~618)..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16
보물로 지정된 安重根將軍의 遺墨 모음* 安重根將軍의 遺墨 安 重根 將軍 순국15분전 사진 순국5분전 어머님이지어주신옷으로 갈어입어시고 1. 백인당중유태화 보물 제569-1호 百忍堂中有泰和 백 번 참는 집안에 태평과 화목이 있다. 중국 당(청) 고종이 운주 장공예(張公藝)의 집 당호(堂號)로 9대가 한집에 화목하게 산 것을 칭찬..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15
김 알렉산드라 스탄케비치(1885~1918) 김 알렉산드라 스탄케비치(1885~1918) 우리에게는 낯설기만 한 이 이름의 주인공은 우리 한국사에 최초의 공산주의 이념가이자 사회에 버려진 노동자들을 몸과 마음으로 이끌었던 실천가였다. 극동 러시아 연해주를 무대로 펼쳐졌던 한인들의 혁명운동사에서 뺄래야 뺄 수 없는 중요한 위..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5
아버지가 내 아이에게 남겨줘야 할 5가지 인생 지혜 1."웃고 즐기렴.삶은 축제란다" 웃음은 마음뿐 아나라 몸에도 좋은 명약이다. 행복한 사람은 웃고 즐기며. 자신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삶까지 축제로 만들어 간다. 2,"사랑하렴.먼저 안아주면 된단다. 젊어서는 최고를 위해 앞만복 달려가지만 훗날 문득 깨닫는다. 함께 사랑하고 행복을 ..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3
삶의 양면성... 정면에는 교양, 사회적인 지위, 영양상태, 치장과 허세로써 얼마쯤은 위장할 수 있지만 후면에는 전혀 그런 장치가 가설될 만한 五官이 없어 그 만큼 진실한 모습이 드러나게 마련이다. - 법정 스님 - Suites For Cello Solo No. 1 /2 /3 /4 /5 / 6 Johann Sebastian Bach, 1685 - 1750 NO. 1 in G major, BWV1007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3
삶의 목표 삶의 목표 우리들의 삶의 목표는 풍부하게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풍성하게 존재하는 데 있다 삶의 부피보다는 삶의 질을 문제 삼아야 한다 사람은 무엇보다도 삶의 목표를 잘 세웠을 때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다 채우려고만 하지 말고 텅 비울 수 있어야 한다. ㅡ 法頂 ㅡ Suites For Cello ..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3
세상을 바꾸는 단 한 가지 방법 세상을 바꾸는 단 한 가지 방법 “착한 아들을 원한다면 먼저 좋은 아빠가 되는 거고, 좋은 아빠를 원한다면 먼저 좋은 아들이 되어야겠지. 남편이나 아내, 상사나 부하직원의 경우도 마찬가지야. 간단히 말해서 세상을 바꾸는 단 한 가지 방법은 바로 자신을 바꾸는 거야" - A.G. 로엠메르..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3
口 蜜 腹 劍 - 구 밀 복 검 구밀복검( 口 蜜 腹 劍 ) “입에는 꿀이 있고 뱃속에는 검이 있다”는 말인데, 겉으로는 상냥하게 굴면서 뒤로 돌아서면 다리를 당긴다는 뜻입니다. 중국 당(唐) 현종 때에 “이임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태자 이하 그 유명한 무장 안록산까지 두려워했던 전형적인 궁중 정치가 였다..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2
老子 曰 - ‘上善若水(상선약수) 가장 위대한 善’이라는 말 - 老子 曰 - 上善若水 老子(노자)에는 ‘上善若水(상선약수)’라는 말이 있다. ‘上’은 ‘위’라는 뜻이고, ‘善’은 ‘선, 착하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上善’은 ‘가장 위에 있는 善’, 즉 ‘가장 偉大한 善’이라는 말이 된다. ‘若’은 ‘∼와 같다’라는 뜻이고, ‘水’는 ‘물.. 精神을 건강하게/삶의 역사 201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