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blog/021CE64A5087FC0419)
고혈압(Hypertension)이란? 고혈압은 혈관을 따라 흐르는 혈액의 압력 즉, 혈압의 수치가 최고 140mmHg 이상, 최저 90mmHg 이상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상태를 말한다. 혈압의 수치는 운동이나 환경에 따라서 크게 변하지만 최저 혈압 수치는 변화가 적기 때문에 고혈압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고혈압은 최고 혈압과 최저 혈압 양쪽이 모두 높은 경우와 최고 혈압만 높은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보통 고혈압이라고 하는 것은 전자의 경우를 말한다.
증상 고혈압은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 따라서 방치되는 경우가 많고, 건강검진 등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증상은 뒷머리가 아프고, 어지럽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고 쉽게 피로하며 코피나 혈뇨 등이 나타난다. 그러나 아무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해서 방치하거나 고혈압을 조절하지 않으면 혈압이 갈수록 악화되어 뇌졸중이나 시장질환 시누전(심근경색, 협심증), 눈 손상 등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나게 된다.
원인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최고-최저 혈압이 모두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여기에는 특별한 원인이 없는 본태성 고혈압(1차성 고혈압)과 병적 요인을 가지고 있는 속발성 고혈압(2차성 고혈압)이 있다. 숫자상으로는 본태성 고혈압이 90~95%를 차지하며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본태성 고혈압의 유발요인으로는 유전, 생활습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는데, 가족중에 고혈압 환자가 있을 때, 나이가 많을수록, 음식을 짜게 먹을수록, 비만할수록, 술 담배를 많이 할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고혈압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다. 그외에 스테로이드 투여 후나 비활동적인 생활습관, 경구피임약 복용시에 혈압이 높아진다.
한편 속발성 고혈압은 당뇨병, 신장병, 내분비계통질환 등 다른 질병이 원인이며 전체 환자의 5~10% 정도를 차지한다.
치료
고혈압은 그 자체가 무서운 것이 아니다. 문제는 심하지 않은 고혈압 환자일지라도 치료를 받지 않고 장기간 방치해두면 생명을 위협하는 여러가지 합병증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고혈압 치료에는 체중조절, 식이요법, 운동 등의 비약물요법과 약물요법 등이 있다.
비약물요법은 생활습관을 개선함으로써 고혈압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평소 혈압이 높지 않은 사람도 다음의 생활 습관을 유지한다면 고혈압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체중 감량을 위한 감식(표준 체중 유지), 저염식 식사, 금주, 금연과 더불어 카페인 섭취를 중단한다. 또한 평소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은 피하고 야채를 많이 섭취한다. 또한 체중과 혈압은 정비례하므로 규칙적인 운동(유산소 운동 권장)을 통해 비만을 방지하고, 혈압을 상승시키는 스트레스를 해소해서 치명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각별히 주의한다.
약물요법은 치료제로 이뇨제, 교감신경 억제제, 말초혈관 확장제, 칼슘 통로 차단제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무분별한 약물사용은 절대 금하며 환자의 연령, 성별, 기타 질병 유무에 따라서 의사와 상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