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일본의 전 총리이자 제1대 조선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는 러시아의 재무상 블라디미르 코코프체프(Vladimir Kokovtsov)와 회담하기 위해 하얼빈 역에 도착했다.
이토 히로부미가 오전 9시 15분 하얼빈 역에 도착해 차내에서 약 20분 정도 코코프체프와 대화한 후, 그의 권유에 따라 명예 사령관으로서 러시아 수비병을 사열하기 위해 열차에서 내렸다.
그가 수행원의 안내를 받으며 러시아 군대 앞을 막 지나가는 순간, 안중근이 총 3발을 쏴 이토 히로부미를 명중시켰고 안중근은 혹시 이토 히로부미가 아닐 것을 대비해 다시 총 3발을 쏴 주위에 있던 일본 관리들을 쏘았다.
이때 수행원인 무로다(室田義文), 나카무라(中村是公) 등은 깜짝 놀라 급히 이토를 꽉 껴안아 보호했다.
이때 안중근은 죄 없는 사람을 잘못 쏘아 다치게 하는 것이 옳은 일은 아니라는 생각을 하여 잠시 주춤하는 사이에 헌병에게 체포되었다.
그 다음 안중근은 러시아 말로 '코리아 우라(대한 독립 만세), 코리아 우라(대한 독립 만세)!' 외친 뒤 러시아 군대에게 잡혔다.
이토는 "당했다"라고 한마디하였다.
수행원은 우선 이토를 차내로 옮기고 이토가 좋아하는 브랜디를 한잔 따라 건네주었다.
이토는 이때 지팡이를 꼭 잡고 있어서 무로다가 이것을 빼내고 그의 손을 꼭 잡았다.
이토히로부미는 잠시 신음하다가 저격 당한 지 30분 뒤인 오전 10시경에 사망했다.
---------------------------------------------------------------------------
안중근 처형 이후 조국으로부터 버려지는 그의 가족, 아들 안준생의 삶.....
안중근의 아들에 관한 이야기다.
첫째 아들은 죽음이 무엇인지도 모를 7살 때 누군가 준 과자를 받아 먹고 동생들에게도 과자를 먹이고 싶어 집으로 돌아 오던 중 쓰러져 죽는다.
둘째 아들 안준생의 일생은 虎父犬子랑 소리를 듣고살았다.
안중근 사후, 아들 준생이 친일파로 살아갈 수 밖에 없었던 암울한 뒷이야기.....
안준생은 서른 살 가까운 청년이 될 때까지 변변한 밥 벌이를 하지 못한다.
안중근의 의거 후 일본이 그 가족들을 따라 다니며 감시하고 일 자리를 얻는 족족 훼방을 놓았기 때문이다.
안준생의 이런 처지를 이용하여 일만 시켜 먹고 없는 죄를 뒤집어 씌우는 사람들까지 있었다.
안준생은 아버지의 선택의 결과로 주어진 운명에 휩쓸려 처참한 변절자로 살아간다.
--------------------------------------------------------------------------
안중근은 독립군으로 전투에서 일본군을 포로로 잡았으나 제네바 협약에의거 포로 수용시설이 없다하여 일본군을 풀어준다. 그러나 풀어준 일본군이 독립군의 위치를 알고 되돌아와 공격하여 독립군에게 심각한 타격을 입게된다.
안중근은 양심에 따른 잘못된 선택에 관한 괴로움과 울분으로 한동안 고통을 받게된다.
그래서 안중근은 이토히로부미 암살을 계획한다.
'안중근 의사'의 의사라는 말이 잘못된 말이라는 것이다.
일본은 하얼빈역에서의 이토히로부미 저격사건을 일종의 테러로 규정하기 위하여 안중근을 '의사'라고 불렀지만
안중근은 <대한제국 의군 참모중장 자격으로 전쟁중 작전을 통해 적장을 사살한 전투>라고 규정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본 법원에 의하여 묵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