精神을 건강하게/기억해야할역사

1975년 '동아일보'사태진실규명

하늘벗삼아 2014. 5. 11. 09:34




"동아, '언론수호' 아닌 유신정권에 굴복"

진실화해위, 1975년 '동아일보' 사태 진실규명…"중앙정보부 주도적 역할"

 

이석주

1975년 박정희 정권에서 자행된 이른바 '동아일보 광고탄압 사건'과 '언론인 대량해고 사태'에 대해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29일 "유신정권의 언론탄압정책에 따른 공권력의 인권침해 행위"로 규정하고 피해자들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권고했다.
 
특히 진실화해위는 "박정희 정권 하에서 관련부처인 문화공보부도 언론사에 간섭과 통제를 시도했지만, 중앙정보부가 직무를 벗어나 동아언론탄압의 모든 역할을 주도했다"고 밝혔다. 국가가 중앙정보부를 동원해 언론을 조직적으로 통제했다는 것이다.
 
이로써 지난 33년 간 언론자유를 외치며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투쟁해온 동아 해직 언론인들은 정부와 동아일보사의 철저한 외면속에 감춰졌던 진실의 베일을 벗게됐으며, 최근 YTN 사태로 대표되는 정부의 언론장악 시도에도 일침을 가하게 될 전망이다.
 
"동아일보 광고탄압 사태, 중앙정보부의 주도적 개입"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안병욱)는 이날 "이 사건은 동아일보사에 대한 부당한 탄압일 뿐 아니라 기업활동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양심의 자유 등 헌법에 명시된 국민의 기본권을 심각히 훼손하고 침해한 것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년 간 '동아일보 광고탄압 사태'를 조사해온 진실화해위원회는 지난 21일 전원위원회를 열고 중앙정보부가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다는 내용을 심의 의결했다. 
 

 

▲ 1975년 1월9일 자 동아일보 1면. 당시 백지광고로 신문이 발행됐다. 진실화해위는 29일 2년여에 걸친 조사 끝에 중앙정보부에 의한 조직적 탄압으로 결론지었다.     © 한국기자협회


구체적으로 진실화해위에 따르면, 중앙정보부는 지난 1974년 12월 중순경부터 1975년 7월 초순까지 동아일보사와 계약한 광고주들을 남산 중앙정보부로 불러 광고취소와 광고를 게재하지 않겠다 내용의 서약서를 쓰게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진실화해위는 "중앙정보부가 소액광고주까지 출두하게 하거나 경찰 정보과 직원에 의한 연행 조사 방법, 세무서의 세무사찰, 백지광고에 대한 격려광고를 게재한 교수가 속한 학교에 압력을 넣는 방법 등을 사용했다"고 전했다.
 
진실화해위는 또 "중앙정보부는 동아일보가 광고를 다시 싣는 조건으로, 동아일보사의 핵심부서 5개 국장의 인사문제를 협의할 것과 정부 정책에 비협조적이었던 점을 사과하는 내용의 기사를 요구했다"고도 밝혔다.
 
"중앙정보부 개입해 동아일보사 인사 문제 미리 협의"
 
진실화해위는 '언론인 대량해고 사태'에 대해서도 "중앙정보부가 개입해 향후 동아일보사 인사 문제를 미리 협의하도록 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당시 동아일보사 주필은 '3월 8일자 언론인 해임은 광고탄압 때문'이라고 발언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앞서 동아일보사는 지난 1975년 3월 8일부터 5월 1일까지 총 7차례에 걸쳐 자사 언론인 49명을 해임하고 84명에 대해 무기정직 처분을 내렸다.
 
진실화해위는 "결국 박정희 정권은 정부의 치밀한 주도하에 진행된 일련의 탄압조치로 비판언론 거세라는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었다고 판단되자, 동아일보 광고탄압 조치를 해제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이 같은 전대미문의 동아일보 광고탄압과 언론인 대량해임은 부당한 공권력에 따른 중대한 인권침해 행위"라고 규정했다.
 
"동아일보사, 자사 언론인들 보호하기는 커녕 유신정권에 굴복해"
 
진실화해위는 동아일보사에 대해서도 일침을 가했다. 진실화해위는 "비록 광고탄압의 압박이 있었다 하더라도 동아일보는 언론자유를 외쳤던 자사 언론인들을 보호하기는커녕 정권의 요구대로 해임했다. 유신정권의 부당한 요구에 굴복했다"고 비판했다.
 
진실화해위는 "더욱이 경영진은 그 당시부터 정권에 의한 해임이라는 점을 시인하지 않고 경영상의 이유로 해임했다고 주장했다"며 "결과적으로 유신정권의 언론탄압에 동조했다. 언론인들의 생존권과 명예를 침해한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고 못박았다.
 
이와 관련, 진실화해위는 정부를 향해 "동아일보사를 탄압하고 언론인들에 대한 강제 해임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며 "피해자들의 언론 자유수호 노력에 대해 정당한 평가와 피해자들의 피해 회복을 통해 화해를 이루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한편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동아일보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와 회사측 사과와 향후 적절한 조치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동아투위는 내년 3월 17일 까지 동아일보 사옥 앞에서 1인 시위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3월 17일은 동아일보사로 부터 언론인들이 대량 해고된 날이다.

 

 

[출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