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자 : 미상 * 형식 : 8연의 연장체, 3음보 (3.3.2조) * 특징 : 유음 (ㄹ,ㅇ)을 사용하여 음악성이 두드러짐 * 주제 : 생의 고독과 비애 * 의의 ..........1) <서경별곡>과 함께 고려가요 중 문학성이 가장 뛰어난 작품 ..........2) 고려 시대 사람들의 생활관이 잘 나타나 있음 * 출전 :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이 노래에는 고려인들의 자연애, 현실 도피, 은둔 사상, 낙천성 등이 잘 드러나 있다. 이 노래에 대한 해석은 다양한데, 주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해석이 대표적이다. 1) 고려 후기에 계속되는 전란을 피해 이리저리 떠돌며 정처없이 유랑하는 2) 속세의 번뇌를 해소하기 위해 청산을 찾아 위안을 구하면서도 3) 실연한 사람이 슬픔을 잊기 위해 현실을 도피하고자 하는 마음을 담은 노래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노래는 산이나 바다를 찾아 외롭게 사는 민중의 애닯은 심정과 1연과 6연에 나오는 '청산'과 '바다'는 단순한 자연이 아니라 현실을 벗어나 이 노래는 5연과 6연을 바꾸어 보면 1 ~ 4연과 5 ~ 8연이 대칭적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징적인 표현으로 유랑인의 비애를 잘 드러낸 고려가요로, 가장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 |